진정한 대화를 방해하는 요소들
도덕주의적 판단(Moralistic Judgment)
- 나의 생각이나 가치관에 상대가 동의하지 않을 때 그 사람이 나쁘다거나 뭔가 잘못되었다고 암시하는 말
- 도적주의적 판단의 말들은 적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.
- 모욕, 진단, 꼬리표 붙이기, 상대를 비하하는 말 등이 포함되며 긍정적인 평가가 꼬리표도 진정한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
- 너는 게을러
- 저 사람은 무책임해
- 우리 부장은 너무 권위적이야
- OO 은 성공한 소설가야
강요(Demand)
- 우리의 부탁을 상대가 들어주지 않을 때 상대의 선택권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어떤 비난이나 벌을 받을 것이라는 위협이 암시적으로나 표면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말들
- 복종을 계속 강요 당하면 분노가 쌓인다.
- 내 부탁을 당연히 들어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있으면 말하는 방법에 상관없이 그것은 강요가 된다
- 시키는 대로 하세요
- 다 먹어야 해!
상과 벌을 정당화하는 말들(Justification of reward and punishment)
- 어떤 행동에는 상이나 벌이 당연히 따라야 하고 그 이유나 기준은 자기가 안다는 생각에서 나오는 말들
- 그 사람은 벌 받아 마땅해
- 그 정도는 당연히 해주어야지
- 어떤 행동에는 상이나 벌이 당연히 따라야 하고 그 이유나 기준은 자기가 안다는 생각에서 나오는 말들
책임을 부인하는 말들 (Denial of responsibility)
- 자신의 생각, 느낌, 행동에 대해 책임을 부인하는 말들
- 자신의 행동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말할 때는 우리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부인하는 것
- 다른 사람들의 행동: 그 아이가 거짓말을 했기 때문에 때렸다
- 막연한 이유: 그냥 해야 하는 거니까 하는 거야
- 다른 사람이나 자신이 붙인 꼬리표: 나는 우울증 환자이기 때문이야
- 권위자의 지시: 상사가 고객에게 그렇게 하라고 했기 때문에 그렇게 밖에 할 수 없었다
- 집단의 압력: 다른 애들이 다 담배를 피우니까, 나도 피웠다
- 제도상의 규칙, 규제 등: 학교의 규칙이라 그 학생을 정학시켰다
- 사회적, 연령, 성적 역할: 나는 아버지이자 남편이기 때문에
- 자제 할 수 없는 충동: 나도 모르게 그 케이크를 혼자 다 먹었다
비교/경쟁(Compare/Compete)
- 비교하는 것도 비판의 한 형태
- 비교를 당하면(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) 누구나 비참하고 두렵고 불안해져서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기 어렵다.
- 모든 사람이 경쟁의 대상이나 적이 되어 우리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 대해 배려하거나 연민을 느끼기 힘들어진다.
- 비교하는 마음이 없어질 때 우리는 자유와 생동감을 느끼고 실제 그대로를 관찰로 볼 수 있으면 창조적으로 된다.
- 넌 왜 OOO 보다 못 하니?
- OOO 은 이번에 수석 했다는데 너는?
- 엄마 친구 아들은 ...
- 누구네 집은 ...
NVC 구조
관찰(observation) 평가, 비난과 구별하기
- 있는 그대로, 대화를 시작하게 해 주는
- 있는 그대로, 대화를 시작하게 해 주는
느낌(feeling) 생각과 구별하기
- 실제 느낌, 서로 연결되고 욕구를 찾기 위해
- 실제 느낌, 서로 연결되고 욕구를 찾기 위해
필요, 욕구(need) 수단방법과 구별하기
- 느낌의 원인, 이해와 원하는 것을 추구하는 쪽으로 전환
- 느낌의 원인, 이해와 원하는 것을 추구하는 쪽으로 전환
부탁(request) 강요와 구별하기
- 연결 부탁: 상대를 대화로 초대하기
- 행동 부탁: 구체적, 긍정적, 의문형으로
- 연결 부탁: 상대를 대화로 초대하기
[사례] 언니가 동생에게
관찰: 네가 요 며칠 12 시가 넘어서 들어오고, 집에서 말이 없는 것을 보았을 때,
느낌: 나는 궁금하기도 하고 걱정도 돼.
욕구: 왜냐하면, 무슨 힘든 일이 있을 때 우리가 같이 이야기를 해서 서로 이해하고, 도울 수 있으면 하거든.
부탁: (연결부탁) 너는 어떻게 느끼니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