컨테이너화된 어플리케이션의 배포, 확장 및 관리를 자동화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 |
1. 서비스 디스커버리와 로드 밸런싱쿠버네티스는 DNS 이름을 사용하거나 자체 IP 주소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노출할 수 있다. 컨테이너에 대한 트래픽이 많으면, 쿠버네티스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로드밸런싱하고 배포하여 배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.
|
스토리지 오케스트레이션: 스토리지의 자동화된 설정, 관리, 조정을 의미 |
쿠버네티스를 사용하여 배포된 컨테이너의 원하는 상태를 서술할 수 있으며 현재 상태를 원하는 상태로 설정한 속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. 예를 들어 쿠버네티스를 자동화해서 배포용 새 컨테이너를 만들고, 기존 컨테이너를 제거하고, 모든 리소스를 새 컨테이너에 적용할 수 있다.
롤아웃: 어플리케이션의 배포된 상태를 원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것 롤백: 어플리케이션의 변경된 상태를 다시 되돌리는 것 (무중단 배포와 무중단 복구를 지원) |
빈 패킹: 가장 적절한 노드에 리소스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|
쿠버네티스는 실패한 컨테이너를 다시 시작하고, 컨테이너를 교체하며, '사용자 정의 상태 검사'에 응답하지 않는 컨테이너를 죽이고, 서비스 준비가 끝날 때까지 그러한 과정을 클라이언트에 보여주지 않는다.
실패하거나 응답하지 않는 리소스를 교체하는 기술 |
쿠버네티스를 사용하면 암호, OAuth 토큰 및 SSH 키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 할 수 있다. 컨테이너 이미지를 재구성하지 않고 스택 구성에 시크릿을 노출하지 않고도 시크릿 및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배포 및 업데이트 할 수 있다.
쿠버네티스의 핵심은 'Desired State' (원하는 상태)
|